컨텐츠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산학협력단 소개

산학협력단 소개 인사말

인사말

고려사이버대학교
홈페이지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혁신적인 R&D를 통하여 산업체의 4차 선업으로의 확신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평생 교육의 밑거름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고려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장 한운영 입니다.
4차 산업혁명은 1784년 영국에서 시작된 증기기관과 기계화로 대표되는 1차
산업혁명, 1870년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이 본격화된 2차 산업혁명, 1969년
인터넷이 이끈 컴퓨터 정보화 및 자동화 생산시스템이 주도한 3차 산업혁명에 이어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사물인터넷(IoT), 로봇공학, 빅데이터와 같은 혁신적인 정보통신 기술이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서 융합되어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입니다.

디지털 혁명(Digital Revolution)이라고 하는 3차 산업혁명이 일으킨 컴퓨터와 정보기술(IT)의 발전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지만 발전의 폭발성과 파괴성 때문에 3차 산업혁명이 계속 된다고 하기 보다는 새로운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진입하는 것입니다.
2016년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전망 보고서’에서 “세계 고용의 65%를 차지하는 주요 15개국에서 2020년까지 향후 5년간 710만개의 일자리가 없어지고, 새로운 일자리는 불과 200만개 정도가 창출되어 결과적으로 51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차 산업혁명이 기존의 일자리를 빼앗기 보다는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로 우리에게 기회를 줄 것입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대학의 입장에서 교육 환경의 혁신적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으로 융합된 지식과 사고력을 겸비한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어떻게 준비하고 대처 하느냐가 대학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 교육이 공급자 위주의 교육에서 산업 현장에 필요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하는 방향으로 사회와 융합하는 사회문제 해결형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하고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크리에이터 및 기업가 정신 교육을 감당해야 합니다.
따라서 산학협력단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대학 본연의 역할에 일조하기 위하여 산·학·연 협력체재를 구축하여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에 대한 맞춤형 교육과 인재를 양성하고 혁신적인 R&D를 통하여 산업체의 4차 산업으로의 전환 및 확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4차 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평생 교육이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고려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장한운영